아래와 같이 세개의 스위치와 하나의 라우터가 연결되어 있다고 했을 때,
라우터는 3개의 Vlan(vlan 10, 20 , 30)을 모두 라우터와 연결해줘야 합니다.
이런 경우 하나하나 설정해줘야 하기 때문에 리소스가 많이 듭니다.
(여기서는 3개의 스위치지만, 만약 스위치가 100개 넘는다면 더욱 힘들어 질 것 입니다)
이에 트렁크 포트를 만들어 모든 가상랜이 돌아 다닐 수 있도록 합니다.
이후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해당 VLAN이 들어오면 이렇게 지나가게 하자 라는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.
이 때 명령어는
int fa0/0.vlan10
encapulation dot1q 10
ip address (vlan10번의 게이트웨이 주소)
-> fa0/0으로 vlan 10이 들어오면 해당 IP로 가게 하자
이렇게 하여 각각의 vlan 마다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.
설정이후 running-config 해주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fa0/0 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가 3개 생긴것을 알 수있고, 각각의 vlan 과 vlan에 해당하는 게이트웨이 주소가 나와있습니다.
이렇게 설정이 완료되면, 다른 포트 대역을 가진 vlan 끼리 통신이 가능 합니다.
아직 이부분은 부족하여 틀린부분이 많을 수도 있습니다.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ISCO_Swithch vlan 설정(Hub 와 Switch의 차이) (0) | 2023.08.04 |
---|---|
CISCO_라우터설정(3) ssh 설정, 백업 (0) | 2023.08.03 |
CISCO_라우터 설정(2) (0) | 2023.08.02 |
CISCO_라우터 설정 방법 (0) | 2023.08.01 |
OSI 7계층 , Well-known port (0) | 2023.08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