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에는 network 통신의 기본 모델인 OSI 7계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OSI 7계층의 구조 입니다.
하단부터 Physical ~ transport 계층을 하위 계층 session ~ application 계층까지를 상위 계층이라고 합니다.
먼저 하위 계층의 경우 커널 단에서 처리를 하게 되고, 상위계층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합니다.
하위계층의 데이터 단위와 장비는 아래와 같습니다.
계층 | 데이터 단위 | 장비 |
1계층 | bits | hub,cable |
2계층 | frame | switch |
3계층 | packet | router |
4계층 | segment | gateway |
그래서 각각 계층을 오를때마 해당 계층에서의 데이터가 추가되어 전달되고 다른 서버로 전송이 되면 그 이후로는 다시 계층을 오를때마다 추가된 계층이 다시 없어지면서 마지막으로는 데이터만 전송이 됩니다.
1. 물리계층(Phyical)
- 통신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계층
-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로 (0,1)만 전송
2. 데이터링크 계층(DataLink)
- 위 계층은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 주소에 MAC address를 부여함
3. 네트워크계층(Network)
-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헤더에 IP가 부여되며, 라우터를 통해 경로를 선택하고 패킷을 전달함
4. 전송계층(Transport)
- 전송방식을 결정함(TCP/UDP)
- TCP의 경우 데이터의 순서를 부여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음
- UDP는 데이터 전송에 초점을 맞춰 속도가 빠름
5. 세션계층(Session)
- 두 지점간의 논리적 연결을 유지하는 계층(포트번호 등을 기반으로 구성)
6. 표현계층(Presentation)
- JPG, MPEG 등 데이터의 표현방식을 결정하는 계층
7. 응용계층(Application)
- http , FTP 등의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함
Well-known port
위 포트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포트과 프로토콜들이다. 많이 있지만, 그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모아놓았다
port 번호 | 내용 |
20 | 파일 전송 프로토콜 (FTP, File Transfer Protocol) |
21 | 파일 전송 프로토콜 (FTP, File Transfer Protocol) |
22 | 시큐어 셸 (SSH, Secure SHell) - ssh scp, sftp같은 프로토콜 및 포트 포워딩 |
23 | 텔넷 프로토콜 (Telnet Protocol) -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통신 |
25 |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 - 이메일 전송에 사용 |
53 | 도메인 네임 시스템 (DNS, Domain Name System) |
67 | BOOTP (부트스트랩 프로토콜) 서버. DHCP로도 사용 |
68 | BOOTP (부트스트랩 프로토콜) 클라이언트. DHCP로도 사용 |
80 | 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- 웹 페이지 전송 |
110 | POP3 (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) - 전자우편 가져오기에 사용 |
139 | 넷바이오스 (NetBIOS, Network Basic Input/Output System) |
143 | 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 4 (IMAP4,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4) -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|
443 | HTTPS - 보안 소켓 레이어 (SSL, Secure Socket Layer) 위의 HTTP (암호화 전송) |
993 | SSL 위의 IMAP4 (암호화 전송) |
995 | SSL 위의 POP3 (암호화 전송) |
3306 | Mysql |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ISCO_Swithch vlan 설정(Hub 와 Switch의 차이) (0) | 2023.08.04 |
---|---|
CISCO_라우터설정(3) ssh 설정, 백업 (0) | 2023.08.03 |
CISCO_라우터 설정(2) (0) | 2023.08.02 |
CISCO_라우터 설정 방법 (0) | 2023.08.01 |
Router , Switch의 차이 , Subnet 개념 (0) | 2023.07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