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8s을 공부하다 보니 이 부분이 헷갈려서 따로 정리하려고 한다. 우선 각자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자 NodePort - 외부에서 Node로 접근할 때 사용 되는 포트 Port - Cluster 안에서 내부적으로 Service 객체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트 TargetPort - Service에서 전달 된 요청을 한 단계 아래인 Pod로 전달 될 때 사용되는 포트 즉 전달 순서는 NodePort - Port - TargetPort 순인 것이다. Nginx을 NodePort로 서비스 시키고 NodePort는 32000 , 포트는 80 타겟 포트는 8080일때, Service.yml 파일은 아래와 같다. apiVersion: v1 kind: Service metadata: name: web-nginx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