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

Linux 명령어 - (4) Storage 관리

우당탕탕인생기 2023. 8. 13. 22:45

이번에는 Storage 관리이다.

 

Storage 생성은 크게 3단계로 이뤄진다.

스토리지 생성 -> 파일시스템 설정 -> 마운트(장치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디렉토리와 연결하는 작업)

 

먼저 현재 리눅스에 스토리기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

명령어는 "lsblk" 이다.

3개의 storage가 있고 첫번쨰 하드디스크는 약 50g , 두번째 하드디스크 sdb는 10G , 세번째 하드디스크는 5G 이다.

 

그렇다면 우선 파티션을 생성해보자

 

1. 파티션생성

sdb 하드디스크에 5G짜리 파티션을 하나 생성해보자

fdisk /dev/sdb 을 통해 생성가능하다.

 

그러면 이렇게 모드가 변경된다.

명령어 해당내용
n 파티션 생성
w 저장 하고 모드 나가기
p 파티션 보기
d 파티션 삭제
t 파티션 모드 변경
q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

잘 안보이겠지만 n 명령어를 통해 생성하고 w로 저장하였다.

이후 lsblk를 해보면 sdb 밑에 sdb1 이라는 파티션이 하나 생긴것을 볼 수 있다.

 

2. 파일시스템 설정

파일시스템 설정은 mkfs 명령어를 사용하며 ext3 ,ext4 xfs 파일타입으로 설정할 수 있다.

sdb1의 파일시스템은 ext4로 해보자 -> mkfs.ext4 /dev/sdb1

잘 생성이 되었다.

blkid 명령어를 통해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해보자

TYPE에 보면 ext4가 잘 설정되어 있다.

3. mount

mount 작업을 통해 장치기기와 디렉토리를 연결해야 완료된다.

mount 장치경로 등록할 디렉토리 -> mount /deb/sdb1 /ss

나는 ss 라는 경로에 마운트 했는데 이후 mount 목록을 보면 잘 연결된걸 볼 수 있다.

 


만약 마운드를 해제 할려면?

 

그렇다면 했던것을 반대로 하면된다.

마운트해제 -> 파일시스템 삭제 -> 파티션 제거

1. 마운트해제

umount 연결된디렉토리 -> umount /ss

보면 /dev/sdb1 목록이 사라진걸 볼 수 있다.

2. 파일시스템삭제

wipefs -a -f /dev/sdb1

 

 

3. 파티션 제거

fdisk로 모드 접속후 d 를 통해 제거 하면된다

이렇게 제거가 잘 된것을 볼 수 있다.